중세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 국어국문학

쇼핑몰 전체검색

도서목록
HOME>도서목록>분야별 도서


 

중세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사용후기 0 개
위시리스트0
판매가격 30,000원
포인트 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중세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차례
    머리말 … 4

    1. 서론 … 15
    1.1. 연구 목적과 대상 … 15
    1.2. 주요논의 및 방법론 … 16
    1.3. 선행연구와 본서의 방향 … 20
    1.3.1. 감동법 … 20
    1.3.2. evidentiality, mirativity … 23
    1.3.3. 감동법 ‘‐것다’와 비존칭의 ‘‐거시니’ … 25
    1.4. 인용 자료 … 26

    2. 복수표지 ‘‐ㅅ/옷²‐’ … 31
    2.1. ‘‐ㅅ‐’의 복수성 … 31
    2.1.1. 의문형 ‘‐다’ … 32
    2.1.2. 명령형 ‘‐아/어라’, ‘‐거라’ … 36
    2.1.3. 1인칭 ‘‐소‐’[‐ㅅ‐오‐] … 38
    2.1.4. ????순천김씨언간????의 용례들 … 45
    2.1.5. 일부 청유형들과의 관계 … 48
    2.1.5.1. ‘‐쟈라’ … 48
    2.1.5.2. ‘‐사다’ … 50
    2.2. 1인칭 ‘‐오소‐’[‐옷‐오‐]의 복수성 … 51
    2.2.1. ‘‐다소‐’ … 53
    2.2.1.1. 한글 자료 … 53
    2.2.1.2. 음독구결 자료 … 57
    2.2.1.3. 直指寺 소장 법화경의 특수성 … 63
    2.2.2. ‘‐과소‐’, ‘‐아소‐’ … 67
    2.2.3. ‘‐노소‐’[‐‐옷‐오‐] … 70
    2.2.3.1. 음독구결 자료 … 71
    2.2.3.2. 한글 자료 … 80
    2.3. “도소”의 이질성 … 85
    2.4. 소결: “감동법” 체계 다시 정리 … 93

    3. 감동법 ‘‐돗/옷¹‐’의 용법 … 97
    3.1. mirativity marker로서의 감동법 … 98
    3.1.1. 종래의 문제점 … 98
    3.1.2. 핵심적 의미·기능 … 99
    3.1.3. 증거성과의 관계 … 104
    3.1.4. 현대어의 mirativity 표현들 … 106
    3.2. Ⓐ 내적 감각 … 109
    3.2.1. 기본적인 용법 … 109
    3.2.2. ‘알리로소녀’, ‘엇더도소뇨’ … 111
    3.2.3. ‘몯 리로다’ … 116
    3.3. Ⓐ′ 일치·식별·同定·평가 … 120
    3.3.1. Ⓐ′‐1 원했던 대상을 찾아냄 … 120
    3.3.2. Ⓐ′‐2 식별, 同定 … 126
    3.3.3. Ⓐ′‐3 평가 … 131
    3.3.3.1. 품평·인물평 … 132
    3.3.3.2. 사건·상황에 대한 평가 … 136
    3.3.3.3. ‘(어루) ~라 니리로다’ … 138
    3.4. Ⓑ 지각 경험에 수반된 깨달음 … 140
    3.4.1. 기본적인 용법 … 140
    3.4.2. 뛰어난 지각 능력 … 143
    3.5. Ⓑ′ 추리/추론과 인식 양태 … 145
    3.5.1. 기본적인 용법 … 145
    3.5.2. 뛰어난 추리 능력 … 148
    3.5.3. Ⓑ′‐1 확실성 ‘(다/반기) ‐돗/옷¹‐’ … 151
    3.5.4. Ⓑ′‐2 가능성 ‘(시혹) ‐리롯‐’ … 155
    3.5.5. Ⓑ′‐3 과거의 가능성 ― 反實假想 ‘V/A‐리랏다’ … 159
    3.6. Ⓒ 주관적·개인적 감각 … 165
    3.6.1. Ⓒ‐1 자신의 견해를 도출/확인/표명 … 167
    3.6.2. Ⓒ‐2 인정과 양보 … 169
    3.6.3. Ⓒ‐3 확인과 의문 … 171
    3.6.4. Ⓒ‐4 잘 몰랐던 척 ― “정보 관할권”과의 상호작용 … 174
    3.6.4.1. 책임 회피 … 176
    3.6.4.2. 정보 강자에 대한 공손성 … 180
    3.6.4.3. 떨어지는 신빙성 … 182
    3.7. Ⓒ′ 객관적·논리적 도출 … 184
    3.7.1. 수량의 계산 … 185
    3.7.2. “‐ㄴ 셈이다” … 187
    3.7.3. “‐ㄹ 터이다” … 191
    3.7.4. Ⓒ′‐1 “(이맘때면/그때쯤엔) ‐ㄹ 터이다” … 194
    3.7.5. ‘~(‐오) 알리로다’ … 195
    3.8. Ⓓ 이해·해석·납득과 내재화 … 199
    3.8.1. 기본적인 용법 … 201
    3.8.1.1. 항구적인 본질·원리·원칙의 이해 … 201
    3.8.1.2. 인과관계를 해석함 … 202
    3.8.1.3. 진의를 해석함 … 205
    3.8.1.4. 하나의 줄거리로 해석함 … 207
    3.8.2. 과거에 대한 깨달음 ‘V/A‐닷다’ … 209
    3.8.2.1. ‘‐닷다’, ‘‐다다’ … 209
    3.8.2.2. ‘‐다니’ … 213
    3.9. ‘V‐돗더라’와 ‘V‐돗던고’ … 214
    3.9.1. 과거의 지각 경험 ‘V‐돗더라’ … 215
    3.9.1.1. 기본적인 용법 … 216
    3.9.1.2. 1인칭의 대상화 … 219
    3.9.1.3. 제삼자의 깨달음 … 220
    3.9.1.4. ????두시언해????와 ????순천김씨언간????의 용례들 … 222
    3.9.2. 의아스러워 함 ‘V‐돗던고’ … 230
    3.9.2.1. ‘V‐던고’ … 230
    3.9.2.2. ‘V‐돗던고’ … 233
    3.10. 1인칭 주어의 감동법 … 238
    3.10.1. [‐돗‐오‐]의 可否 … 239
    3.10.2. 의미적 특수성 … 240
    3.10.3. 자료의 검증 … 242
    3.10.4. ‘‐돗/옷¹‐’과 ‘‐오‐’의 계열관계 … 251

    4. ‘‐것다’, ‘‐거시니’, ‘‐거시다’ … 255
    4.1. ‘‐거‐’의 의미·기능 … 259
    4.2. ‘‐것다’[‐거‐옷¹‐다] … 266
    4.2.1. ‘‐거다’와의 대비 … 266
    4.2.2. 자신의 무의식적 행동 및 시간의 경과에 대한 깨달음 … 274
    4.2.3. 상황의 자연발생적 변화에 대한 깨달음 … 278
    4.2.4.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비난) … 283
    4.2.5. Ⓒ‐1 자신의 견해를 도출/확인/표명 … 284
    4.3. ‘‐거시니’[‐거‐옷¹‐니] … 287
    4.3.1. ‘‐것다’ 및 ‘‐돗/옷¹‐’과의 동질성 … 288
    4.3.1.1. 자신의 무의식적 행동 및 시간의 경과에 대한 깨달음 … 288
    4.3.1.2. Ⓐ 내적 감각 … 289
    4.3.1.3. Ⓐ′(Ⓑ) 식별 … 290
    4.3.1.4. Ⓒ′ 객관적·논리적 도출 … 291
    4.3.1.5. Ⓒ′‐1 “(이맘때면/그때쯤엔) ‐게 됐을 터이다” … 295
    4.3.2. ‘‐거니’와의 대비 … 297
    4.3.2.1. ‘‐거니, [수사의문문]’ … 299
    4.3.2.2.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 … 305
    4.3.2.3.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비난, 감사) … 317
    4.3.2.4. Ⓒ‐3a 사실의 확인과 그것에 대한 의문 … 319
    4.3.2.5. Ⓒ‐3d 따짐과 힐문 … 321
    4.4. ‘‐거시다’[‐거‐옷¹‐‐다] … 329
    4.5. 소곡본 ????능엄경????의 ‘‐(것이니)’ 표기 … 332
    4.6. ‘‐거시며’[‐거‐옷¹‐며]의 존재 … 336
    4.7. ‘‐거샷‐’[‐거‐시‐옷¹‐]과 그 誤記 … 342
    4.8. ‘‐앗‐’[‐아‐옷¹‐], ‘‐아샷‐’[‐아‐시‐옷¹‐] … 350
    4.8.1. ‘‐앗다’, ‘‐아샷다’ … 351
    4.8.2. ‘*‐아니’, ‘‐아샤니’ … 354
    4.8.3. ‘‐아다’ … 356
    4.9. “‐거‐(H!) + ‐옷¹‐(H) → ‐것‐(H)”의 성조 변화 … 358
    4.10. ‘‐거시니’와 ‘‐가시니’의 교체 … 362
    4.11. ????번역노걸대????의 ‘‐거니’와 ‘‐거시니’ … 365
    4.11.1. ‘‐거니’ … 365
    4.11.2. ‘‐거시니’ … 371

    5. 특수화와 변화 … 375
    5.1. ‘‐샤소‐’의 특수성 … 375
    5.2. ‘‐놋도다’, ‘‐다’, ‘‐다’, ‘‐도다’ … 380


    6. 결론 … 385

    참고문헌 … 398
    <부록 1> 형태별 정리 및 본서에서의 참조 위치 … 409
    <부록 2> 본서의 개요와 전체 흐름 소개 … 412
    찾아보기 … 415


     

    설명
    ■ 출판사 서평

    이 책에서는 "감동법"이란 결국 "깨달음 표지"이며, 감동법체계란 유형론적으로도 매우 귀중한, 본래적이며 꽉 짜인 "mirativity system"임이 밝혀진다. 이는 중세한국어 감동법 체계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기술하는 일 자체가, DeLancey(1997) 이래로 비교적 최근에 논의도기 시작하여, 아직 연구의 초기단계에 있는 세계 언어유형론 분야의 mirativity 연구에 대해 큰 이바지를 하게 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현대한국어 mirativity 연구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을 것임은 물론이다. 이에 본서는, 자료의 수집과 분류·정리를 중심에 두어 논의를 구성하여, 이 귀중한 mirativity system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구체적인 자료와 함께 정리·기술함으로써, mirativity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는 하나의 기초연구가 되는 것을 제2의 목표로 삼고자 한다.

    ■ 저자소개

    가와사키 케이고(河崎啓剛)

    일본 동경에서 태어났다. 일본 동경대학 교양학부 초역문화과학과 언어정보과학분과를 졸업하고(2008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학을 전공하여, 문학석사(2010년) 및 문학박사(2016년)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숭실대학교 일어일문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2012년~).
    저서로《韓國 書誌學{의 先鞭 : 마에마 교사쿠의 작업을 중심으로》(공저, 2015년)가 있으며, 논문으로는〈“어기설”과 중세한국어 동사활용〉(2011년), 〈中期朝鮮語「하다」 「만다」の意味的関係〉(2017년)

    ■ 책속에서

    1.3. 선행연구와 본서의 방향

    1.3.1. 감동법

    안병희(1967: 215‐217)는, “의도법”(1인칭) ‘‐오‐’와 똑같은 “형태교체”(음운과정)를 보여주는 “선어말어미” ‘‐옷‐’을 석출함으로써,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해당 선어말어미의 출현양상을 설명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놋‐’과 ‘‐돗‐’이, 후속하는 매개모음 //를 동화시켜 /오/로 실현시킨다는 점 또한 여기서 밝혀진 중요한 사실이다. 그런데 그는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어미 「옷」은 분명히 의도법 어미 「오」와 ㅅ의 통합”이라고 보았다. 이에 고영근(1980b: 52‐53)은 (적어도 공시적으로) 그러한 분석 가능성을 부정하여, ‘‐옷‐’을 분석 불가능한 하나의 형태소로 포착함으로써, 이 체계를 “‐옷‐, ‐돗‐” 계열과 “‐ㅅ‐” 계열이라는 두 가지 계열(형태소)로 정리하였는데, 우리는 이 견해를 오늘날까지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본서는 이들의 성과를 출발점으로 삼아, 고영근(1980b)의 체계를 바탕으로 “감동법”에 대한 형태론적 논의를 진행하되, ‘복수성(plurality)’과 ‘깨달음(mirativity)’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도입함으로써 종래 미진하였던 자세한 의미·기능·용법 면에 대해 접근하여, 이에 바탕한 더욱 정밀한 형태론적 정리를 시도하고자 한다.
    또한 고영근(1980b: 49)에서는, 선어말어미 ‘‐돗‐’과 1인칭 ‘‐오‐’가 결합한 [‐돗‐오‐]라는 형태소 연속이 존재한다는 견해가 세워졌는데, 이 견해 역시 오늘날 정설적인 지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다음과 같이 ‘‐도소니’, ‘‐도소다’ 중에는, ‘‐노소니’, ‘‐노소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 개재 여부에 따라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매개모음 //→/오/ 순행동화로 인해 겉으로는 구별되지 않을 뿐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돗‐∅‐]
    ‐도다
    [‐돗‐다]
    ‐도소니¹
    [‐돗‐니]
    ‐도소다¹
    [‐돗‐‐다]



    [‐돗‐오‐]
    *‐도소라(문증되지 않음)
    [‐돗‐오‐다]
    ‐도소니²
    [‐돗‐오‐니]
    ‐도소다²
    [‐돗‐오‐‐다]


    그러나, [‐놋‐오‐]의 경우는 ‘‐노소라’[‐놋‐오‐다]가 확실히 문증되는 데 비해, [‐돗‐오‐]의 경우는 그 존재를 확실히 증명해 주는 ‘*‐도소라’[‐돗‐오‐다]의 용례가 한글자료에서도 음독구결자료에서도 단 한 예도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은, 분명한 문제로 지적되어야 한다. [‐돗‐오‐]라는 형태소 연속이 정말로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재고가 요망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리롯‐’[‐리‐돗‐]과 ‘‐오‐’의 형태소 연속이 아예 불가능하며, 비록 주어가 1인칭인 경우라도 ‘‐리롯‐’ 뒤에는 ‘‐오‐’가 출현하지 않는다고 보는 견해는 일찍 이승희(1996: 85‐88), 정재영(1997: 622‐655), 고은숙(2013: 15‐24) 등에서 논의된 바가 있어 주목된다. 이들은 주로 ‘‐리‐’와 ‘‐오‐’의 통합순서 등에 근거한 견해이긴 하지만, 본서도 이를 지지하면서, 나아가 ‘‐오‐’가 뒤에 올 수 없는 것은 ‘‐리롯‐’이라는 특수한 경우에 한정되는 일이 아니라 모든 ‘‐돗‐’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이야기임을 논의하고자 한다.

    ■ 머리말

    중세한국어 “감동법”은 현대어에서는 “~하도다”, “~하것다”, “~하렷다” 등 일부 어미들에 화석처럼 남아 있는 문법이다. 중세어 시기에는 이것이 더 체계적으로 활발하게 사용되면서, 단순한 “감탄”이나 “영탄”과 같은 말로는 다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하고 복잡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책은 제목 그대로 그 “감동법”의 정체를 찾고자 하는 연구서이다.
    필자는 일본 동경대학에서 언어학을 전공하였고, 이후 한국어사를 배우러 서울대학교 대학원으로 유학을 왔다. 2010년에는 대한민국 정부초청 외국인대학원장학생으로 선정되어 경제적 어려움 없이 박사과정을 다니는 혜택을 입었고, 지난 2016년 2월에는 박사학위논문 「중세한국어 감동법 연구 ― ‘깨달음’과 ‘복수성’」을 제출하며 무사히 졸업하게 되었는데, 감사하게도 부족함이 많은 이 논문이 일석학술재단으로부터 2017년 제8회 일석국어학학위논문상으로 선정되는 분에 넘치는 영광을 얻게 되었다. 이 책은 그 박사학위논문의 문장을 다듬고 기존의 견해나 용어를 일부 수정한 것이다
    글을 집필하는 동안 필자는 숭실대학교 일어일문학과의 일본어 교사였다. 활기찬 학생들에게 일본어를 가르치면서 그들의 젊은 에너지를 받아 그대로 연구실로 가져가는 일상 속에서 이 연구는 진행되었다. 악센트까지 까다롭게 따지는 수업을 반겨 들어 주고 모자란 선생님을 항상 밝게 대해 준 학생들에게 감사하고 마지막으로 부족하나마 필자의 힘을 다한 이 책을 한국 유학생활의 한 매듭으로서 학계에 바치며, 다시 한 번 따뜻하게 응원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ㆍ분 야

    : 국어국문학

    ㆍ저자

    : 가와사키 케이고

    ㆍ발행일

    : 2017년 10월 20일

    ㆍ크기

    : 152*224mm

    ㆍ정가

    : 30,000원

    ㆍ쪽수

    : 432

    ㆍISBN

    : 978-89-7668-233-8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중세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저자 가와사키 케이고
    출판사 (학)신구학원신구문화사
    크기 신국판
    쪽수 432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2017년 10월 20일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교환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3000원 (30,000원이상 무료배송 )
    • 배송 기간 : 3일 ~ 7일
    • 배송 안내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취소/교환/반품하시는 상품의 신청사유에 따라 배송비는 고객 부담입니다. (ex. 파본 도서,배송 오류 제외)
      -취소/교환/반품하실 때는 본사 직원과 통화한 이후 처리 가능합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상품을 공급 받으신 날로부터 7일이내는 교환/반품 가능.
     단, 도서 보호를 위해 씌운 비닐(랩핑)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에는 교환/반품이 불가능합니다.

    -주문하신 것과 다른 상품을 받으신 경우

    -파본인 상품을 받으신 경우

    -배송과정에서 손상된 상품을 받으신 경우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소비자의 실수로 상품이 훼손된 경우
    -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
    - 탐독의 흔적이 있는 경우

    - 수령일로 7일이 지난 상품의 경우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반품 절차

    - 먼저 출판사에 전화하여 반품의사를 알려주세요.
    - 도서는 택배 또는 등기우편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반품 택배비: 고객부담(단, 파본 도서, 배송오류 제외)
    - 반품 도서가 출판사 쪽에 도착하고, 도서 확인 후, 환불 처리 진행됩니다.


    반품 주소

    (13174) 성남시 중원구 광명로 377 신구대학교 우촌학사 1층 신구문화사


    환불 방법

    - 출판사에 전화하여 환불의사를 알려주세요.
    - 무통장 입금건은 환불 계좌를 알려주시면 빠른 처리 가능합니다.

     ※취소/반품 신청 시, 환불계좌 미입력시 환불이 지연됩니다.
    - 카드 결제 시, 카드 승인취소 절차를 밟게 됩니다. 체크카드는 영업일 기준 3~5일이내 환급 처리 됩니다.


선택된 옵션

  • 중세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0원

(학)신구학원신구문화사 사업자 등록번호 : 101-82-09197 대표 : 김길준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1-성남중원-0396 주소 : 경기도 성남시 광명로 377 신구대학교 우촌학사 1층
전화 : 031-741-3055 팩스 : 031-741-3054 E-mail : shingupub@naver.com

Copyright © 신구문화사 All Rights Reserved.